오늘의 영문법

뒤늦게 시작하는 영어공부 25 - should have, must have, could have... 과거에 대한 영어표현 정리!

생펜 2025. 5. 2. 18:00

 

 

"그랬어야 했는데…" "분명 했을 거야" "할 수도 있었어" 이런 말들,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답은 바로 조동사 + have + 과거분사(p.p) 구조! 오늘은 이 조합을 유형별로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1. should have + p.p – ~했어야 했는데 (후회)

과거에 어떤 일을 하지 않아서 아쉬울 때 쓰는 표현이에요.

  • I should have studied more.
    → 더 공부했어야 했는데.
  • You shouldn’t have said that.
    → 그 말은 하지 말았어야 했어.

👉 ‘지금 생각해 보니, 그랬으면 좋았을 텐데…’ 라는 의미!


2. could have + p.p – ~할 수도 있었는데 (가능성/기회)

가능했지만 실제로 하지 않은 일을 말해요.

  • We could have won the game.
    → 우린 그 경기를 이길 수도 있었어.
  • She could have called me.
    → 그녀가 나한테 전화할 수도 있었는데.

👉 **기회가 있었지만 놓쳤다**는 느낌!


3. must have + p.p – 분명 ~했을 거야 (강한 추측)

과거 상황에 대한 강한 확신을 나타내요.

  • He must have left early.
    → 분명 일찍 떠났을 거야.
  • You must have been tired.
    → 너 정말 피곤했겠다.

👉 단서/정황을 보고 확신할 때!


4. might have / may have + p.p – ~했을 수도 있어 (약한 추측)

가능성은 있지만 확신은 없는 추측이에요.

  • He might have forgotten.
    → 잊어버렸을 수도 있어.
  • She may have seen me.
    → 그녀가 날 봤을 수도 있어.

👉 **정확히는 모르지만 그럴 수도 있다**는 말!


5. 조동사 + have + p.p 구조 정리표

표현 의미 예시
should have ~했어야 했는데 (후회) I should have gone.
could have ~할 수 있었는데 (기회) We could have won.
must have 분명 ~했을 거야 (강한 추측) She must have left.
might/may have ~했을 수도 있어 (약한 추측) He might have seen it.

오늘의 마무리

과거를 말하는 조동사 조합은 지금 상황을 판단하거나 감정을 표현할 때 아주 유용해요!

후회하고 싶을 때는 should have, 확신할 땐 must have, 놓친 기회는 could have, 확신 없는 추측은 might/may have!

“말하고 나니 후회된다면? should have!”


📘 다음 편 예고

다음 시간에는 to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와 용법을 정리해요! to + 동사 / 동사 + ing… 어떤 상황에서 뭐가 맞는지 깔끔하게 비교해드릴게요 😊


여러분의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shouldhave #couldhave #mighthave #영어조동사정리 #조동사과거표현 #영어추측표현 #영어후회표현 #영어기초문법 #뒤늦게시작하는영어공부 #성인영어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