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상식

3편. 초등학생도 이해한 무역 이야기 - 상호관세

생펜 2025. 4. 3. 10:07

 

“아빠, 상호관세가 뭐야?”

치킨 뜯다 갑자기 뉴스가 궁금해진 초1 아들.
TV에서 들은 ‘상호관세’라는 단어. 아빠는 이걸 어떻게 설명했을까요?

이 글에서 알려드릴 내용

  • ‘상호관세’란 무엇인가요?
  • 왜 나라끼리 세금을 서로 매기는 걸까요?
  • 경제 뉴스가 좀 더 친근해지는 방법!

1. 치킨과 햄버거로 배우는 국제 무역

민준: 아빠~ 뉴스에서 미국이 한국에 상호관세 매긴다는데, 그게 뭐예요?
아빠: 오~ 민준이 뉴스 귀가 생겼네? 좋아, 치킨 한 조각 더 줄게. 잘 들어봐.

우리나라가 치킨을 미국에 수출한다고 생각해봐요.
그런데 미국이 갑자기 이러는 거예요:

“한국 치킨 너무 싸! 우리 치킨 망하겠어! 앞으로 한국 치킨엔 25% 세금 붙일 거야!”

그러면 어떻게 될까요? 가격이 확 올라가서 미국 사람들이 한국 치킨을 안 사먹게 되겠죠.


2. 한국의 반격, 바로 ‘상호관세’

그러자 한국도 이렇게 말합니다:

“좋아, 그럼 너네 햄버거에도 우리도 25% 세금 붙일게!”

이렇게 상대가 우리에게 세금 매기면, 우리도 똑같이 세금 매기겠다는 게 바로 ‘상호관세(相互關稅)’입니다.

이건 말 그대로 “우리도 가만 안 있어”라고 선언하는 무역 보복의 일종이에요.


3. 상호관세, 왜 하는 걸까?

  • 상대국이 우리 기업에 부당한 관세를 매기면
  • 우리도 공정하지 않다고 판단해 대응
  • 서로 같은 수준의 관세를 매기며 무역 균형을 맞추려는 목적

하지만 이게 심해지면 무역 전쟁이 되기도 해요. → 결국 소비자 물가도 오르고, 서로 손해를 보게 되는 거죠.


4. 핵심 요약: 상호관세란?

구분 설명
정의 한 나라가 관세를 부과하면, 상대국도 같은 방식으로 맞대응하는 관세
목적 무역 불균형이나 부당한 조치에 대한 보복
예시 미국이 한국 제품에 25% 부과 → 한국도 미국 제품에 25% 부과
영향 무역 갈등 확대, 소비자 가격 상승 가능성

5. 아빠의 마지막 한마디

민준: 와~ 뉴스가 이제 조금 재밌어졌어요!
아빠: 좋아. 하지만 치킨은 남기지 마라.
그건 엄마가 음식세 붙이신다. 😅

여러분은 ‘상호관세’라는 단어, 이제 좀 친숙해지셨나요?
비슷한 개념 중에 헷갈리는 무역 용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편에서 또 쉽게 풀어드릴게요 😊 

 

구독 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보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