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경제상식

2편. 알바생의 3.3%

by 생펜 2025. 4. 3.

 

“사장님, 3.3% 세금 돌려받는다는 거 진짜예요?”

알바하면서 월급에서 빠지는 3.3%, 그거 다시 받을 수 있다던데... 진짜?
모르고 넘어가면 손해, 제대로 알고 챙겨가야죠!

이 글에서 알려드릴 내용

  • 3.3% 세금, 왜 빠지는 걸까?
  • 진짜 환급받을 수 있는 계산법
  • 얼마부터 환급? 어디까지 추가 납부?
  • 세금 손해 안 보는 꿀팁 정리

1. 3.3%는 왜 빠졌을까?

지민: 사장님! 제가 받은 알바비에서 3.3% 빠졌잖아요.
그거 종합소득세 신고하면 다시 받을 수 있다던데, 진짜예요?

사장님: 오~ 지민이, 요즘 알바생도 세금 걱정하는 시대네?
좋아, 아주 좋은 질문이야. 커피 리필해줄게, 대신 잘 들어봐.

✔️ 핵심 포인트: 근로계약서 없이 일하면 ‘사업소득’으로 분류돼요. 그래서 국세청이 소득세 3% + 주민세 0.3% = 총 3.3%를 미리 떼가는 거랍니다.


2. 종합소득세 신고 = 정산 타임

지민: 그럼 그게 진짜 세금이 아니라, 일단 빼놓고 보는 거예요?
사장님: 정확히는 ‘원천징수’야. 실제로 내야 할 세금은 종합소득세 신고 때 다시 계산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는 1년 전체 소득을 기준으로 세금을 다시 계산해서 더 냈으면 돌려주고, 덜 냈으면 더 내는 '정산'이에요.


3. 환급 예상 계산법 (초간단 예시)

사장님: 예를 들어볼게. 계산기 켜자~
  • 총 수입: 600만 원
  • 떼인 세금(3.3%): 19만 8천 원
  • 기본 공제: 150만 원
  • 과세표준: 600만 - 150만 = 450만 원
  • 세율 6% 적용 시 세금 약 27만 원
지민: 에이… 그럼 전 더 내야 해요?
사장님: 그럴 수도 있고~ 만약 소득이 적으면 전액 환급도 가능하지!

4. 쉽게 정리하자면?

1년 총 수입 환급 가능성
300만 원 이하 거의 전액 환급
500만 원 내외 일부 환급 또는 상계
800만 원 이상 추가 납부 가능성 있음

5. 신고는 꼭 해야 하나요?

지민: 신고 꼭 해야 돼요?
사장님: 너처럼 알바만 했다면 대부분 환급받아. 안 하면 손해지!

※ 신고 안 하면 못 돌려받습니다!
번 돈이 적어도, 신고해야 환급이 가능해요.


6. 사장님의 한마디

사장님: 세금은 무섭지만, 알고 보면 만만해.
지민: 국세청보다 사장님이 더 믿음가요.
사장님: 국세청은 돈 떼어가고, 나는 커피 준다.

7. 핵심 요약

  • 3.3% 원천징수: 알바비에서 미리 떼는 소득세 + 주민세
  • 종합소득세 신고: 매년 5월, 실제 소득 기준으로 세금 정산
  • 환급 조건: 소득이 적고 공제 많으면 환급 가능성 ↑
  • 예상 결과:
    • 300만 원 이하: 전액 환급 가능
    • 500만 원 내외: 일부 환급 또는 무세금
    • 800만 원 이상: 추가 납부 가능
  • 결론: 신고는 무조건 이득! 알바생이라면 꼭 챙기세요.

여러분도 3.3% 돌려받으셨나요?
댓글로 환급 경험이나 궁금한 점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구독은 사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