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6

24편. 누진세와 공정한 세금 이야기 “부자는 세금을 더 많이 내요?”– 민준이는 지난 시간에 ‘세금은 같이 쓰는 돈’이라는 걸 배웠다.그날 저녁 뉴스에선 한 정치인이 말하고 있었다.“부자들에게 세금을 더 걷겠습니다.”민준이는 고개를 갸우뚱하며 아빠에게 물었다.민준: 아빠, 진짜 부자들은 세금을 더 많이 내요?왜 같은 나라에 사는데, 누구는 더 내고 누구는 덜 내는 거예요?1️⃣ “맞아, 부자일수록 세금을 더 내”아빠는 고개를 끄덕였다.아빠: 그걸 ‘누진세’라고 해.돈을 더 많이 버는 사람에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야.예를 들어,월 100만 원 벌면 → 세금 1만 원 (1%)월 1,000만 원 벌면 → 세금 200만 원 (20%)돈을 더 버는 사람은 ‘비율도 높고, 액수도 크다’는 뜻이야.2️⃣ “왜 그런 구조가 필요할까?”민준: .. 2025. 5. 4.
23편. 세금의 원리와 공공재 이야기 “세금은 왜 이렇게 많아요?” 마트에서 과자를 고르던 민준이.계산대에 적힌 가격을 보더니 깜짝 놀랐다.민준: 어? 이거 1,000원이 아니었어요? 부가세가 붙었대요… 이게 다 세금이래요!집에 돌아오자마자 민준이는 아빠에게 물었다.민준: 아빠, 세금은 왜 이렇게 많아요? 내가 산 과자에도 세금이 붙고, 아빠 월급에서도 세금 떼고… 도대체 다 어디에 쓰는 거예요?1️⃣ “세금은 나라의 ‘공용 지갑’이야”아빠: 세금은 나라가 걷는 돈이야. 그걸로 도로도 만들고, 학교도 세우고, 경찰도 고용하지.우리가 ‘같이 쓰는 것’에 필요한 돈을 ‘같이 모아서 내는 것’이 바로 세금이야.이런 걸 공공재라고 해. 도로, 공원, 국방, 치안, 소방서, 초등학교 같은 것들.2️⃣ “세금이 없으면 생기는 문제들”민준: 근데 그냥 .. 2025. 5. 4.
📘 Ep.18 – 억, 조, 경… 진짜진짜 큰 수의 세계! “숫자계의 우주를 여행하는 법”딸: 아빠, 뉴스에서 1조 원, 500조 원 이런 말 나올 때마다… 숫자가 너무 커서 감이 안 와.아빠: 그럴 수 있지! 사실 그 숫자들은 우리가 사는 세상의 '스케일'을 보여주는 단위들이야. 오늘은 숫자계의 우주여행, 큰 수 탐험을 해보자!딸: 와~ 수학에도 우주가 있어?아빠: 그럼! 1만, 10만, 100만, 1000만, 그 다음은? 억 → 조 → 경 → 해 → 자 → 양… 우리는 지금부터 자리 수의 세계를 타고 숫자 우주를 떠나는 거야.🧠 핵심 개념 정리숫자 자릿수 단위 (한국식)자리수단위숫자 예시4자리만 (10⁴)10,0008자리억 (10⁸)100,000,00012자리조 (10¹²)1,000,000,000,00016자리경 (10¹⁶)10,000,000,000,000.. 2025. 5. 3.
📘 Ep.17 –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땐 어떻게 해야 할까? “숫자계의 키 재기 대회!” 딸: 아빠, 1/2이랑 2/5, 누가 더 클까?아빠: 오~ 그거 수학계의 키 재기 대회 질문이네?딸: 키 재기?! 갑자기 무슨 말이야 ㅋㅋ아빠: 분수도 키를 비교하려면 기준이 필요하잖아? 같은 자리에 세워 놓고 봐야 누구 키가 더 큰지 알지!딸: 아~ 그 말은… 분모를 같게 하거나, 그림으로 비교하는 거네?아빠: 맞아!기본은 통분해서 분모를 같게 만드는 것또는 분자와 분모를 그림처럼 그려서 직관적으로 보기!🧠 핵심 개념 정리분수 크기 비교 방법1. 통분해서 비교:- 분모를 같게 만든 후 분자끼리 비교- 예: 1/2 vs 2/5 → 5/10 vs 4/10 → 1/2이 더 큼!2. 같은 분자를 기준으로 분모 비교:- 분모가 작을수록 조각이 크다!- 예: 3/4 vs 3/5 → .. 2025. 5. 3.
뒤늦게 시작하는 영어공부 26 - to부정사 vs 동명사 쉽게 정리! to + 동사 vs 동사 + ing 차이 알기 영어에서 to부정사(to + 동사원형)와 동명사(동사 + ing)는 모양도 비슷하고 둘 다 명사 역할을 하지만, 용법과 의미가 미묘하게 다릅니다!이번 시간엔 이 둘의 차이를 예문과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1. to부정사 – 미래 지향, 목적, 의도‘무언가를 하려고’, ‘할 계획이다’, ‘할 생각이다’와 같은 미래지향적 목적을 나타낼 때 사용해요.I want to eat lunch. (나는 점심 먹고 싶어.)She decided to leave. (그녀는 떠나기로 결정했어.)They hope to win. (그들은 이기기를 바래.)👉 to + 동사원형 = ‘~하는 것’ (명사처럼 쓰이지만 미래 지향 느낌!)2. 동명사 – 일반적인 행위, 경험, 사실‘~하는 것 자체’에 초점을 둘 때 사용해요.보통 취미,.. 2025. 5. 2.
뒤늦게 시작하는 영어공부 25 - should have, must have, could have... 과거에 대한 영어표현 정리! "그랬어야 했는데…" "분명 했을 거야" "할 수도 있었어" 이런 말들,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답은 바로 조동사 + have + 과거분사(p.p) 구조! 오늘은 이 조합을 유형별로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1. should have + p.p – ~했어야 했는데 (후회)과거에 어떤 일을 하지 않아서 아쉬울 때 쓰는 표현이에요.I should have studied more. → 더 공부했어야 했는데.You shouldn’t have said that. → 그 말은 하지 말았어야 했어.👉 ‘지금 생각해 보니, 그랬으면 좋았을 텐데…’ 라는 의미!2. could have + p.p – ~할 수도 있었는데 (가능성/기회)가능했지만 실제로 하지 않은 일을 말해요.We could have won the game.. 2025.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