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경제상식

특별편 : 트럼프 시대 세계경제 5편 – 관세, 고용, 그리고 정부의 수입 이야기

by 생펜 2025. 4. 16.

“관세를 올렸는데… 진짜 일자리가 생긴다고요?”
– 

트럼프 전 대통령의 뉴스가 다시 등장했다.
“관세로 미국의 일자리를 되살리겠다!” 민준이는 고개를 갸웃했다.

민준: 아빠, 관세를 올리면 어떻게 일자리가 늘어요?
세금 더 내게 만들면 다들 싫어하지 않아요?

아빠는 웃으며 대답했다.

아빠: 오늘은 관세가 일자리를 만든다는 논리,
그리고 그게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1️⃣ “관세로 외국 제품이 비싸지면?”

예를 들어 미국 기업이 중국산 부품을 100달러에 사오던 중이었는데,
트럼프가 관세를 25% 올려버리면? → 부품 가격이 125달러가 되지.

아빠: 그럼 기업은 생각하지. “어차피 이 가격이면, 그냥 미국에서 사자.” → 미국 내 공장에 주문이 늘고
공장 가동 + 고용 증가!

이게 트럼프가 말한 “미국에서 만들고, 미국인이 일하게 하자”는 논리야.


2️⃣ “일부 산업엔 실제로 효과도 있었어”

특히 철강, 알루미늄, 일부 자동차 부품 산업에선 미국 내 생산이 늘어나고,

일자리가 회복되는 흐름이 있긴 했어.
민준: 오! 진짜 관세가 효과 있었던 거네요?
아빠: 근데 문제는… 다른 산업에서 손해가 더 컸단다.

기업들이 수입 원가 상승 때문에 → 제품 가격을 올리고 → 소비자 부담은 늘고 → 다른 부문에선 오히려 고용을 줄이기도 했지.


3️⃣ “그럼 관세로 벌어들인 돈은 어디로 가요?”

또 다른 논리는 이거야.

“관세로 달러를 걷어서, 그걸 일자리 예산으로 쓰겠다!”
민준: 오! 세금 걷어서 일자리 만드는 거네?
아빠: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지.
실제로 트럼프도 관세로 번 돈을 농민 지원이나 인프라 예산에 썼어.

미국 정부는 트럼프 시절 관세로

연 7~800억 달러를 걷었어.

그 돈으로 예산도 짜고, 보상도 했지.


4️⃣ 그런데… 그 돈, 누가 냈게?

민준: 외국 기업이 낸 거 아니에요?
아빠: 대부분 미국 기업이 냈단다.
수입할 때 미국 회사가 관세를 내고, 그 부담은 결국 소비자한테 돌아가.

즉,

외국에 ‘때린다’고 한 관세가

 

사실은 미국 국민들 지갑을 때린 거야.

5️⃣ 아빠의 한 마디

“관세는 경제의 거대한 도미노를 건드리는 일이야.
일자리를 만들려면, 더 정교한 전략이 필요하지.”

민준이는 오늘,

“관세 → 고용”이라는 단순한 공식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계산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다음 이야기 예고

트럼프 대통령이 펼치는 정책에 따라 이야기는 계속됩니다.


#관세와일자리 #트럼프정책 #경제정책 #세금이야기 #아빠와아들 #경제이야기

이 시리즈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댓글로 응원해주세요.
민준이와 함께 배우는 경제 이야기, 다음 편도 기대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