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대표는 국민 셰프라는 별명과 함께,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아온 인물입니다. 그러나 최근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각종 논란이 연이어 불거지고 있습니다.
백종원과 더본코리아의 위기 원인을 정리해봅니다.
1. 상장, 그리고 줄타기 구조
더본코리아는 2023년 상장하면서, ‘주주’와 ‘점주’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하는 구조에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 주주는 수익을 원합니다: 매출 증대, 이익 극대화, 배당 증가
- 점주는 생존을 원합니다: 안정적인 본사 지원, 가격 인상 최소화
결국 이익을 남기기 위해선 점주의 몫을 줄일 수밖에 없는 구조가 형성되고, 이는 ‘점주 착취’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백종원의 브랜드 파워 약화
과거에는 "백종원 브랜드니까 믿고 창업한다"는 흐름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내수 침체와 창업 시장 위축으로 브랜드 확장의 한계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또한 너무 많은 브랜드 런칭으로 관리 이슈가 불거지고, 기대 이하의 성과를 내는 브랜드도 생겨났습니다.
3. 유통 중심의 매출 구조
더본코리아 전체 매출 중 약 60% 이상이 물류 유통 매출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는 "정통 외식 기업이 아니라 단순 유통업체 아니냐"는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수익성을 위해 원가 인상 유혹에 빠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4. 오너 리스크 & 공시 의무의 부메랑
상장 이후, 임원 일탈 행위, 위생 문제, 성비 격차 등 다양한 리스크가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이는 상장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공시 의무가 생긴 결과이며, 백종원 개인 브랜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 상장의 구조적 한계: 주주와 점주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딜레마
- 브랜드 성장의 한계: 백종원 브랜드가 더는 ‘만능열쇠’가 아니다
- 유통 위주 매출구조: 본질 경쟁력에 의문을 던지는 지점
- 사회적 책임 증대: 준비되지 않은 상장은 결국 리스크로 돌아온다
프랜차이즈 본사의 상장은 결코 단순한 ‘돈벌이’가 아닙니다.
수많은 점주들의 생계와 투자자들의 기대, 그리고 대중의 신뢰를 모두 끌어안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더본코리아가 이 위기를 어떻게 돌파해나갈지, 앞으로가 더 중요해 보입니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프랜차이즈상장 #경제블로그 #프랜차이즈딜레마
'오늘의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편. 누진세와 공정한 세금 이야기 (0) | 2025.05.04 |
---|---|
특별편 : 트럼프 시대 세계경제 5편 – 관세, 고용, 그리고 정부의 수입 이야기 (0) | 2025.04.16 |
21편. 발행주식, 시가총액, 그리고 주가의 비밀 (2) | 2025.04.13 |
22편. 액면분할과 주가의 심리 (0) | 2025.04.13 |
20편. 투자 리스크와 주식의 책임 (0) | 2025.04.13 |